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Qqc92/btqT7Xhsewd/V6jHg2hMVYyJl3wViNN0m0/img.jpg)
티스토리를 시작하고 틈틈이 블로그 공부를 하고 있어요. 정성 들여 쓰는 글을 보다 많은 사람이 읽었으면 좋겠다 하는 마음.. 블로그를 하는 분들이라면 누구나 그럴 텐데요~ 저는 시작한 지 얼마 안 돼서 그런지 방문자 카운터가 올라갈 때마다 기분이 UPUP!! 게임할 때 레벨 올리는 기분이랄까요?
2020년 기준 국내 검색엔진 점유율 알고 계시나요? 네이버는 59%, 구글 32.7%, 다음 6.27% 의 각 포털사이트마다 많은 점유율 차이가 나더라고요. 티스토리는 다음 기반이라 대부분의 유입이 다음 검색에서 이루어지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의 6.27%가량만 다음 검색을 이용하니 아쉬운 마음이 들었어요. 내 블로그가 네이버나 구글에서도 검색이 된다면 글 쓰는 재미가 더 뿜 뿜 할 텐데 말이에요~
뜻이 있는곳에 길이 있다고, 역시나 방법은 있더라고요~
네이버는 서치 어드바이저(웹마스터 도구)에서 블로그를 등록하는 방법이 있고, 구글은 서치콘솔에 사이트 등록하면 내 글이 네이버와 구글에서도 검색이 된다는 걸 알게 되었어요.
네이버는 지난번에 검색 노출하는 방법을 알아봤고 오늘은 티스토리 구글 노출 방법(서치콘솔 등록)에 대해 살펴볼게요.
2021/01/18 - [유용한 정보] - 티스토리 네이버 노출을 위한 사이트 등록방법
티스토리 네이버노출을 위한 사이트 등록방법
티스토리 블로그를 개설하고 글을 작성했는데 몇 시간이 지나도 방문자도 없고, 방문자가 없으니 글을 읽는 사람 또한 없는... 몇시간동안 공들여 글을 썼는데 방문자가 0이라니.. 가슴이 시린거
awesome-info.tistory.com
1. 구글 서치콘솔 소유권 확인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Mu7H3/btqT02qCIu5/Q1XGFKUCI1YLdZxfukaUQ0/img.jpg)
구글에 로그인한 후 서치콘솔에 접속하면 위와 같은 화면을 확인할 수 있어요 (서치콘솔에 접속 후 로그인을 해도 무방합니다). 도메인은 tistory.com 같은 개념이고, URL접두어는 URL접두어라는 말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URL앞에 붙는 사이트를 말해요. 사용자 주소. tistory.com 같은 개념이에요. 그렇기 때문에 빨간 박스로 표시한 부분에 본인의 티스토리 주소를 넣고 계속 버튼을 눌러주면 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sdqi7/btqT0tPywgV/Ple9dKekf5aBZOKr7I1XCK/img.jpg)
소유권 확인 팝업창이 열리면 다른 확인방법의 HTML 태그 부분을 복사합니다. 팝업창을 닫지 않은 상태에서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홈 > 꾸미기 > 스킨 편집 > HTML 편집으로 들어갑니다. (이 부분은 네이버 사이트 등록 포스팅에서 자세히 설명했으므로 이미지는 생략할게요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dbtjU/btqT90ERmCM/7dc5QcZERl5myW9u7l6S0K/img.jpg)
복사한 메타태그를 <head> 사이에 붙여 넣기 하고 적용을 클릭합니다. 그리고 아까 메타태그를 복사했던 팝업창으로 돌아가 확인 버튼을 눌러줍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UbJ3N/btqTV8kRSUP/K6d12NPCYVbUZMpEYRybOk/img.jpg)
인증 중이라는 로딩 화면이 보이다가 소유권 확인 팝업창이 나타납니다. 완료를 클릭하면 소유권 확인은 마무리가 됩니다.
2. 구글 서치 콘솔 RSS와 사이트맵 등록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PPZEA/btqT3sblmHJ/bKwfIqDJYdMq2qSUtZhFpK/img.jpg)
상단 왼쪽의 구글서치콘솔 로고를 클릭하면 소유권 확인 전의 화면과 달라진 화면을 볼 수 있는데요. 위의 이미지처럼 팝업창이 열리면 시작 버튼을 클릭해줍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leuZx/btqTYRwvYdc/NnuAjdvbTvvOmzZEa0pOf1/img.jpg)
좌측 메뉴의 sitemaps를 클릭하면 새 사이트맵을 추가할 수 있는데 본인의 티스토리 주소 뒤에 sitemap.xml이라고 입력 후 제출을 클릭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VuK9R/btqT016phMX/V0LzPkchv3mi6VWkuJpkcK/img.jpg)
새 사이트맵 추가에 rss를 입력하고 제출 버튼을 클릭하면 하단 제출된 사이트맵에 저장이 돼요. 상태가 성공으로 나왔다면 오늘의 수고가 보람으로 바뀌는 순간인 거죠~!!
이렇게 소유권을 확인하고 사이트맵과 rss를 등록해줌으로써 내 티스토리 구글 노출 확률을 높인 것 같아 뿌듯합니다.
네이버 사이트 등록을 해봐서인지 좀 더 수월하게 마친 것 같아요~
티스토리 구글 노출 방법 어렵지 않으니 차근차근 따라 해 보세요
'유용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한은행 통장사본 출력 (0) | 2021.01.27 |
---|---|
21년 연봉 실수령액 (0) | 2021.01.26 |
넷플릭스 키즈 삭제 (0) | 2021.01.25 |
홈플러스 상품권 사용처 이렇게나 많아? (0) | 2021.01.23 |
티스토리 네이버노출을 위한 사이트 등록방법 (0) | 2021.01.18 |